박선주(인사이트나인코리아 대표이사)

[라포르시안] 특정 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관련 업체가 증가하면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각종 단체가 설립된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해 급성장한 체외진단의료기기와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협회가 통합 및 신규로 발족해 활동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이하 협회·협회장 김영민)는 조직·예산·사업 규모 면에서 가장 큰 단체로 3년마다 새로운 협회장을 선출하고 정부의 의료기기 제도·정책 변화에 발맞춰 회원사들의 이익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지난달 27일 새롭게 출범한 협회 제10대 집행부는 현재 의료기기 업계가 처한 각종 현안 해결을 위한 우선 과제 11개를 선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협회장 임기 3년 동안 추진되는 해당 과제들은 4가지 방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첫째 협회를 비롯한 주요 단체들이 의료기기 규제 변화에 발맞춰 공동의 정책 제안을 할 수 있도록 ‘범의료기기 정책기구’를 만들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의료기기가 점차 고도화되면서 정부의 제도·정책 운영 또한 전문화되고 있는 만큼 입법부·행정부로부터 보다 많은 관심과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를 통해 의료기기 단체가 모여 공동의 정책을 논의한다면 대표성을 담보할 뿐만 아니라 막강한 추진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사회적 기여에 대한 의지를 구체화했다. 의료기기 업계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윤추구지만 의료기기의 경우 공공재적 특성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국민 보건에 대한 사명감이 있다. 그간 많은 의료기기업체가 마음은 있지만 구체적인 방법을 몰라 사회적 공헌에 선뜻 나서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업체 대부분이 영세하다 보니 독자적인 활동을 하기에도 부담이 적지 않았다. 이에 협회는 봉사와 나눔에 대한 여러 경로를 정비하고 채널을 확대해 더 많은 회원사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우리 사회 사회 경제적 취약계층을 돕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셋째 의료기기 단체로서 업체들이 사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사업이 의료기기 제조사를 대상으로 한 수출 지원이다. 여러 단체가 규제 대응에 힘을 쏟고 있지만 정작 제조업의 해외 수출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대부분의 수출 지원 제안이 업체 개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정부 혹은 지자체 단위의 대규모 조직적 지원을 받는 데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수 있는 국제기구·국가별 입찰 등 현안 대응도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다. 협회는 의료기기 제조사의 수출 지원을 위한 조직적 대응으로 정책 지원을 견인할 수 있도록 상시적 운영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규제 대응에 대한 접근 방향성을 재정립한다는 목표다. 대부분의 단체는 제도·정책 현안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나름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법으로는 의료기기 제도·정책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협회는 전체적인 틀에서 거시적인 안목과 깊이 있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료기기 규제기관 또는 산업 진흥부서와 협업할 수 있는 소통 채널을 구축하는 한편 기존 식품의약품안전처·건강보험심사평가원 중심의 대관 활동 영역을 국회로 넓혀 법에 근거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규제 대응 시스템을 모색하고 있다.

김영민 제10대 협회장이 앞서 취임사에서 밝혔듯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가 회원사들의 사회 공헌 및 환원을 견인하는 ‘사회적 단체’이자 국내 의료기기산업 발전을 꾀하고 단체 간 신뢰와 협력의 ‘중심 공간’으로서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한다.  

※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